경상남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 센터소개
    • 인사말
    • 센터소개
    • 추진체계
    • 직원안내
    • 찾아오시는길
  • 주요사업
  • 센터소식
    • 공지사항
    • 이벤트
    • 활동사진
  • 청소년정책제안
    • 정책제안
  • 정보자료실
    • 청소년 현황
    • 청소년 유관기관 현황
    • 청소년 정보센터
    • 센터사업자료
    • 언론홍보기사
  • 소통공간
    • Q&A
  • Menu

청소년정책제안

정책제안하기
드라마 속 박보검도 맞는 자궁경부암(HPV) 예방주사!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필요합니다!(제3회 경남청소년참여예산제안대회 장려상 수상작)
○ 소요예산 : 일억삼천삼백구십이만원(금133,920,000원) (가다실 4가 기준) ○ 사업대상(수혜자) : 거창군 12세 미만 남자 청소년 558명 ○ 사업위치 : 거창군 보건소, 또는 병원 ○ 사업기간 : 2022. 1. ~ 12. ○ 사업내용(사업비 산출내역) ※ 대한산업보건협회 접종비용 기준 - 가다실 4가(HPV4) 120,000원 × 2회 × 12세미만 남자 청소년 558명 = 133,920,000원 저희 거창군청소년참여위원회(we-chi)는 현재 우리나라 만 12세 미만 여자 청소년들에게만 지원하는 무료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사업을 우선 거창군에 거주하는 12세 미만 남자 청소년에게도 확대 지원하여 남녀 청소년 모두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청소년건강증진 시범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만 12세 미만 여자 청소년을 대상 국가 필수 예방 접종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는 자궁경부암(HPV) 백신은 가다실 4가 또는 서바릭스 2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예방 접종 1회 비용은 가다실 4가의 경우 120,000원 입니다. 국비 및 도비 등 예산 확보를 위하여 사업 기간은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시범사업으로 시행한다는 가정하에, 국가통계포털 KOSIS 기준 “2021년 4월 기준 2022년도 거창군 만 12세 남성 청소년(2009.1.1.생 ~ 2010.12.31.생) 558명”으로 총 2회 예방 접종을 지원하면 소요되는 총사업비는 가다실 4가 기준 133,920,000원이 소요될 예정입니다. 만약, 재정적인 여건으로 인해 접종대상이 거창군의 만 12세 남자 청소년 모두 접종이 어렵다면, 기초생활수급가정, 한부모 가정, 조손가정, 저소득층 가정의 만 12세 남자 청소년들을 우선적으로 무료 접종할 수 있는 방안도 적극 검토를 부탁드립니다! 거창군 12세 미만 남자 청소년들이 모두 접종할 수 있도록 경상남도와 경상남도 교육청에서 거창관내 중학교 및 보건소, 병원과 협력하여 재정 및 행정적인 당위성을 확보해준다면, 거창군의 만 12세 남자 청소년뿐만 아니라 나아가 우리나라 모든 만 12세 남자 청소년, 여자 청소년들이 모두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을 무료로 접종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날이 올 것 이라고 생각됩니다!
공감 1 10/12
경제교육은 청소년 부터!(제3회 경남청소년참여예산제안대회 우수 수상작)
○ 소요예산 : 총 134,980,000원 ○ 사업대상(수혜자) : 경상남도 청소년(초, 중, 고등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 사업위치 : 경남 소재의 고등학교 ○ 사업기간 : 매년, 11월~12월 ○ 사업내용 1. 경제교육 가. 추진방향 : 청소년 대상 경제교육을 실시하여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경제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나. 대 상 : 경상남도 초․중․고등학교 및 학교밖청소년 다. 기 간 : 매년 1회 (학교 학사일정에 맞춰 프로그램 진행) 라. 내 용 : - 초등학교의 경우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기획재정부에서 제공하는 경재 배움e 사이트의 카드뉴스, 교육 영상, 웹툰 등을 활용하여 중·고등학교에서 본격적으로 실행할 경제교육을 이해할 수 있을 만큼의 기본적인 개념 이해를 돕도록 함. - 중·고등학교의 경우 경제교육 강사를 초빙, 교육과정에 맞는 경제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함. - 특히 고등학생들의 경우 단순히 개념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성인이 된 직후 필요할 수 있는 지식들(국가장학금, 주택청약, 자취방 계약, 주식 및 투자 등)을 배울 수 있는 기회 제공 -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강의 링크를 교육청 및 경상남도 청소년 지원재단 등 시·군 청소년 기관 홈페이지로 홍보, 온라인으로 교육 진행 2. 청소년 예산안 공모전 가. 추진방향 : 청소년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는 행사 등의 주제를 선정하고 그에 대한 예산안을 작성 및 발표 후 우수작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나. 대 상 : 경상남도 초․중․고등학교 및 학교밖청소년 다. 기 간 : 매년 1회 라. 내 용 : - 경상남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예산 책정 공모전을 진행. - 임의로 정해진 가상의 예산으로 수학여행, 소풍, 현장학습 같은 학교 행사 혹은 여행, 용돈 계획 등의 주제(주최 기관의 재량으로 선정) 에 맞는 구체적인 예산안을 작성 및 발표 - 공모전에 참여함으로써 정해진 예산을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경제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3. 청소년 통장 보급 및 교육 가. 추진방향 :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통장을 발급하고 그에 대한 교육 진행 나. 대 상 : 경상남도 중․고등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 다. 기 간 : 매년 1회 (학교 학사일정에 맞춰 프로그램 진행) 라. 내 용 : -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지급하고 있는 어린이 통장의 경우 학교 재량에 따라 입출금 통장 혹은 적금 통장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그 차이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들은 후 학생이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변경. ※ 초등학생의 경우 만 14세까지 부모 동반이 아닐 시 통장 개설이 불가하기 때문에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선정. - 통장 종류를 학생들이 직접 선택하게 하고 입출금, 이자, 만기 등의 개념을 이해하여 부모님을 통한 수동적 활동이 아닌, 자신의 생각과 선택으로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 몇몇 학교에서 기존에 시행되고 있던 관련 사업들의 경우 단순히 통장 보급에서 끝난다면, 본 제안 내용은 통장 사용 및 관련 지식을 함께 교육한다는 점에서 차별화.
공감 1 10/12
건강한 청소년기를 위한 경상남도 청소년 의약품 지원 사업 ‘학교 밖 보건실’(제3회 경남청소년참여예산제안대회 최우수 수상작)
□ 사업개요  소요예산 : 금300,000,000원(금삼억원)  사업대상(수혜자) : 경상남도 내 청소년(13~18세)  사업위치 : 경상남도 내 지정 약국 400개  사업기간 : 2022. 1. 1. ~ 2022. 12. 31. <세부제안내용> □ 청소년 의약품 지원 ‘학교 밖 보건실’ 약국 사업비 지원 경상남도 내 약국 약 1,400개 소 중 400개 소에 연간 700,000원의 학교 밖 보건실 사업비 지원 예산 낭비 방지 및 절감을 위하여 상반기 350,000원 하반기 350,000원을 지원하되, 하반기는 상반기 예산을 소진한 약국에 한하여 신청받도록 함(지원품목: 두통약, 해열제, 소화제, 소독약, 임신테스트기, 생리대) ※ 약물 오남용 및 예산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품목 및 수량을 지정함 지원방법: 약국에 비치되어 있는 QR코드 인식 후 필요한 약품 일부를 제공 □ ‘학교 밖 보건실’사업 안내 부착물 제작 및 배부(예시)  현행 ‘아동안전지킴이집’과 같은 청소년 의약품 지원 사업 ‘학교 밖 보건실’ 안내 부착물을 제작하여 사업을 실시하는 400개 소 약국에 배부 및 부착함 □ ‘학교 밖 보건실’사업 홍보 팸플릿 제작 및 배부 학교 밖 보건실 사업 홍보를 위한 팸플릿 제작 경상남도 내 중학교 264개, 고등학교 190개, 꿈드림 20개소 및 청소년 유관기관 배부
공감 1 10/12
상상이 이루어지는 자유공간 무한 제작소(*3회 경남청소년참여예산제안대회 대상 수상작)
○ 기간 : 2022. 03 ~ 2022. 11 ○ 대상 : 경상남도 창녕군 내의 청소년 ○ 인원 : 연 1,000여명 ○ 추진내용 : 청소년수련시설 연중프로그램 및 자유학년제와 연계하여 메이킹 프로그램 진행 ○ 추진방법 1. 메이커 스페이스 기본 공간 확보 - 메이커 스페이스에 설치되는 3D프린터, 레이저 커터, CNC, 각종 소모품 등 특수 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 및 시설 마련이 필요하다. 2. 청소년수련시설 연중프로그램 및 자유학년제 연계 운영 - 전문강사를 섭외하여 전문적인 강의를 진행한다. - 사업 기간 내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연중프로그램으로 주 2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진로체험 프로그램 및 자유학년제와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메이킹 스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창녕군청 홈페이지 및 SNS를 활용하여 홍보한다. - 행사 및 축제 프로그램시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작품을 전시한다. 3. 초보 메이커와 심화 메이커로 구분된 프로그램 운영 - 초보 메이커는 호기심, 창의, 체험 위주의 스스로 만들기 체험학습 프로그램 위주로 진행한다. - 심화 메이커는 동아리를 구성하여 중장기 프로젝트 위주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공모전에 공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4. 메이커 스페이스에 안전관리 책임자와 정기점검일 지정 - 안전에 위험성이 있는 고가의 기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책임자를 지정한다. - 메이커 스페이스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과 방문자를 위한 수칙을 마련한다. - 정기점검 일을 지정·관리하여 프로그램이 차질없이 지속 될 수 있도록 한다.
공감 1 10/12
태우소 (버스정류장 태양광LED 및 탑승시스템 설치) (제2회참여예산제안대회 대상 수상작)
1) 버스정류장 야간 조명 설치 : 태양광LED 설치 - Pole형 버스정류장이 있는 곳은 가로등(보안등)처럼 태양광 LED 설치가능 - 조명이 필요하지만 전기사용이 어려운 버스정류장에도 설치가능 - 필름형 모듈을 사용해 낮에 에너지를 축적한 뒤 밤에 사용 (진해지역 청소년들이 사용을 많이 하는 버스정류장 예시) 학교 앞 또는 청소년과 주민들이 평소에 사용이 잦은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어두운 밤 가로수와 불법주차 차량에 시야가 가려 도로로 나가서 버스가 오는 것을 확인하고 승차하게 됨 2) 탑승시스템 (표시조명or표지판) 설치 - 버스정류장에서 탑승할 차량이 올 때 버튼을 눌러 멀리서 기사님이 쉽게 보시고 정차할 수 있도록 조명표시판을 설치함 - 색깔이 있는 조명을 활용한다면 낮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 됨 <설치 시 장점> - 버스의 무정차 방지를 통한 승차객의 만족도 증가 - 사용 방법이 편리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승객이 쉽게 이용 가능함 - 야간 버스이용 시 안전한 정차로 승차객의 안전을 확보함 - 버스기사님께서도 쉽게 승차객을 확인할 수 있음
공감 0 10/11
  • 처음
  • «
  • 11
  • 12

재단안내

  • 경상남도청소년지원재단
  • 원 장 : 박춘덕
  • 사업자번호 : 609-82-11727
  • 주 소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림로45번길 59 청소년관

운영안내

  • Tel : (055) 711-1355
  • Fax : (055) 711-1356
  • Email : gsndyouth@naver.com
  • Home : active.gnyouth.net
  • SNS : facebook/gnyouth

로그인

센터안내

청소년지원재단 : (055) 711-1305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055) 711-1388
청소년활동진흥센터 : (055) 711-1355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 (055) 711-1336
이동형청소년성문화센터 : (055) 711-1341
일시청소년쉼터 : (055) 285-7361
구홈페이지

© Copyright - 경상남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 Design:진해장애인보호작업장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