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 센터소개
    • 인사말
    • 센터소개
    • 추진체계
    • 직원안내
    • 찾아오시는길
  • 주요사업
  • 센터소식
    • 공지사항
    • 이벤트
    • 활동사진
  • 청소년정책제안
    • 정책제안
  • 정보자료실
    • 청소년 현황
    • 청소년 유관기관 현황
    • 청소년 정보센터
    • 센터사업자료
    • 언론홍보기사
  • 소통공간
    • Q&A
  • Menu

청소년정책제안

정책제안하기
학교 밖 청소년 꿈빛카드 지원(제2회 경남청소년참여예산 제안대회 최우수 수상작)
비밀글
공감 0 11/09
학교에서 진정한 진로교육을 받고 싶습니다. (1)
한 사람의 인생은 직업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업에 의해서 사는 곳이 결정되고, 친구관계도 결정이 됩니다. 그러하기에 학교교육에서의 진로교육이 우리 청소년들이 이 사회에서 직업을 통해 자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높은 차원에서 보면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국가인적자원개발의 기본이 됨과 동시에 인간 존엄성 실현의 한 부분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과거의 묻지마식 대학 진학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더욱 더 복잡다양해지고 전문화 되고 있는 현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제공하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막상 학교현장을 보면 도덕 선생님이 진로수업을 진행하시고, 음악 선생님이 진로수업을 진행하시고 계십니다. 학교무용론,학교붕괴론이 나오고 있는 이 때에 학교 진로교육의 역할에 대한 진정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상담선생님 유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감 1 11/03
청소년 다온 교통카드 (10)
카드의 기능 버스를 10번 타면 10%를 할인을 해준다 위치 추적 기능이 있다(휴대폰에 연결이 가능하다) 놀이공원이나 워터파크 등의 놀이시설에 가면 10% 할인해준다 1개월 이상 사용한 청소년에게 넣은 돈의 5% 더 준다 카드에 잔돈을 표시해 준다 택시를 타서도 15% 할인해준다 유해한 물품 구입 시 의무적으로 부모님께 문자가 보내진다 학교 근처에 있는 문구점이나 가게들을 이용 할 때 20%를 할인해준다 서점에서 책을 한번 사면 20%를 할인 해준다 이 교통카드를 잃어버렸을 때 정지 시킬 수 있고 만약 이 교통카드를 누군가 주워 사용하면 정지된 카드라는 안내가 뜬다 카드에서 돈을 뺄 때 수수료가 없다 교통카드로 '누비자'를 이용할 수 있다
공감 17 10/28
청소년 come ON! 블루라이트를 켜자!(제3회 경남 청소년 참여예산 제안대회 본선진출작) (1)
○ 소요예산 : 97,218,000원(금구천칠백이십일만팔천원) ○ 사업대상(수혜자) : 도내 청소년, 주민, 도내 청소년 수련시설 ○ 사업위치 : 도내 청소년 수련시설 인근 버스정류장 ○ 사업기간 : 예산편성 완료 후 버스정류장 홍보 시작일로부터 12개월 2022.01.01.~2022.12.31. ○ 사업내용(사업비 산출내역) 청소년이 청소년시설을 쉽게 인지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블루라이트” 표시와 버스정류장(청소년의 주된 교통수단)을 활용하여 홍보한다. 1. 도내 청소년시설 중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한다(청소년수련관 18개소, 청소년문화의집 18개소). *경상남도내 청소년 시설 현황표 참고 2. 청소년 수련시설과 인접한 버스정류장 조사한다(예: 진해청소년수련관 – 진해구청 버스정류장). 3. 해당 버스정류장(총 36개) 쉘터를 활용하여 “블루라이트존”(근처에 청소년시설이 있음)표시(창원시 홍보매체 공모신청) 4. 해당 버스정류장을 운행하는 버스를 조사한다(예: 진해구청 버스정류장을 운행하는 버스 – 301번, 307번). 5. 청소년이 해당 버스 정류장을 잘 찾아올 수 있도록 (해당 정류장을 운행하는)버스 내부 노선도에 “블루라이트”정류장 표시를 하여 다른 정류장과 구분한다. 6. 각 청소년시설의 특성에 맞추어 쉘터 홍보지를 디자인한다(“블루라이트”로고 삽입). 예: 진해청소년수련관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 홍보, 청소년에게 제공하고 있는 항목 안내, QR코드를 활용하여 수련관 위치정보 및 공지사항 연결. 7. 학교, 도서관 등 청소년 이용률이 높은 장소에 협조를 요청하여 청소년에게 “블루라이트존”의 위치가 상세하게 적힌 “블루라이트존 지도”를 배포한다.
공감 2 10/12
청소년 우리동네 이야기 발굴단 ‘산청 우동이’(제3회 경남 청소년 참여예산 제안대회 본선 진출작)
○ 소요예산 : 7,340,000원(금칠백삼십사만원) ○ 사업대상(수혜자) : 전국 청소년 및 주민 ○ 사업위치 : 산청군 관내 11개 읍면 ○ 사업기간 : 2022년 4월~10월 ○ 사업내용(사업비 산출내역) 청소년과 청보리봉사단, 산청군 관광진흥과 전문 문화해설사, 그리고 산 청박물관이 상호 연계하여 산청군 11개 읍면을 직접 찾아가서, 사라져 가는 우리동네 이야기를 발굴하는 현장을 촬영하여 유튜브 및 각종 SNS를 통해 게시함(전국 청소년 및 국민들과 함께 공유) - 1차 연합 간담회 - 발굴활동 및 촬영 - 유튜브 활동 게시 및 모니터링 - 사후관리 등
공감 1 10/12
어서와 6차산업은 처음이지?(제3회 경남 청소년 참여예산 제안대회 본선 진출작)
○ 소요예산 : 297,431,836원 ○ 사업대상(수혜자) :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근로자 ○ 사업위치 :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 사업기간 : 최소 1년 ○ 사업내용 1. 6차산업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앱 개발 남해에서 6차산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기존에 알고 계시던 분과 진행하는 방식으로, 많은 사람이 6차산업에 접근하는 것에는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거래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여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6차산업에 접근하여 기존보다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할 앱에서는 고용과 각각 산업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각각의 산업을 연결하는 것은 ‘1차산업’, ‘2차산업’, ‘3차산업’의 카테고리를 제작하여 본인이 연결하기를 원하는 산업의 종류를 선택하고 그 안에 거래를 원하는 작물을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게끔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자신이 거래하고 싶은 농작물이나, 제공하는 서비스를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게시글 형식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하며, 기본적인 기재 형식은 거래하고자 하는 유형의 상품의 사진과 기재자의 이름, 사진으로 한다. 농장 측과 근로자 간의 연결도 6차 산업 연결과 같이 앱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진행한다. 앱을 실행시키면 오른쪽에 ‘일자리 연결’이라는 부분이 뜨며, 이 부분을 클릭하여 들어가면 1차, 2차, 3차 산업으로 나누어져 있어 그중에서 근로자 본인이 희망하는 산업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2. 빈집을 활용하여 6차산업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 단지 조성 남해군은 증가하는 빈집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나 같이 산다'사업을 추진중이다. 이 사업과 연계하여 빈집을 리모델링하여 우리 팀이 개발한 앱에서 매칭된 6차산업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 단지를 만드는 것이다. 우선, 우리는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 단지를 만들 곳으로 고현면을 선정하였다. 앞서 말했던 것처럼, 고현면은 남해군 내에서 4번째로 빈집 수가 많으며, 남해군 내에 존재하는 6차산업 제조 가공시설 11개 중 4개가 고현면에 존재하고 있다. 6차산업 제조 가공시설이 많아 6차산업을 통해 남해를 살리려는 우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생각했고, 빈집의 수 역시 많으므로, 6차산업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 단지를 조성하는 데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해 주거 단지를 위한 지역으로 고현면을 선정하게 되었다.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빈집 리모델링은 아래 사진과 같이 진행할 것이다. 3. 홍보 프로그램 : 현수막 제작, 라디오 활용, 브로슈어 제작, sns 온라인 이벤트 진행
공감 1 10/12
  • 처음
  • «
  • 11
  • 12
  • »
  • 마지막

재단안내

  • 경상남도청소년지원재단
  • 원 장 : 박춘덕
  • 사업자번호 : 609-82-11727
  • 주 소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림로45번길 59 청소년관

운영안내

  • Tel : (055) 711-1355
  • Fax : (055) 711-1356
  • Email : gsndyouth@naver.com
  • Home : active.gnyouth.net
  • SNS : facebook/gnyouth

로그인

센터안내

청소년지원재단 : (055) 711-1305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055) 711-1388
청소년활동진흥센터 : (055) 711-1355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 (055) 711-1336
이동형청소년성문화센터 : (055) 711-1341
일시청소년쉼터 : (055) 285-7361
구홈페이지

© Copyright - 경상남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 Design:진해장애인보호작업장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