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연구 및 조사
[연구자료]청소년활동의 사회적 가치 제고방안 연구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추진체계 4
3. 연구내용 5
4. 연구방법 6
Ⅱ. 국가정책에서 청소년활동의 중요성
1.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청소년활동의 의미와 한계 13
2. 교육과 청소년정책 수준이 국가 발전에 미치는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16
Ⅲ.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1. 청소년활동과 신체적 성장 29
2. 청소년활동과 심리적 안정 32
3. 청소년활동과 인지적 발달 36
4. 청소년활동과 사회적 발달 38
Ⅳ. 청소년활동의 개념과 조작적 정의
1. 청소년활동의 개념 51
2. 청소년활동의 조작적 정의를 위한 접근 64
Ⅴ. 사회적 가치의 개념과 조작적 정의
1. 사회적 가치의 개념 69
2. 청소년활동을 통한 사회적 가치의 조작적 정의를 위한 접근 88
Ⅵ. 청소년활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수준
1. 청소년 응답자의 인적 특성 94
2. 청소년활동의 참여경험과 참여도 101
3. 청소년 참여활동의 인식 수준, 역량 및 삶의 질 수준 106
4.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 인식 수준 117
5. 청소년활동의 경험 및 참여도에 따른 사회적 가치 인식 수준 119
Ⅶ. 청소년활동의 경험 여부에 따른 사회적 가치 변화에 대한 이중차분모형 분석
1. 청소년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전반적인 사회적 가치 인식 수준 130
2. 청소년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적 가치별 인식 수준 132
3. 청소년활동별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적 가치 인식 수준 135
Ⅷ. 청소년활동에 따른 공동체의식 변호에 대한 행동실험 분석
1. 행동실험을 위한 측정 도구 142
2. 행동실험에 대한 실증분석 모형 144
3. 추정 결과 146
4. 소결론 150
Ⅸ. 청소년활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전문가 IPA 분석
1. 조사개요 및 IPA 분석 방법 153
2. 청소년활동에 따른 사회적 가치에 대한 전문가 중요도 인식 158
3. 청소년활동에 따른 사회적 가치에 대한 전문가 실행정도 인식 163
4. 청소년활동에 따른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수단별 전문가 의견 169
5. IPA결과에 대한 종합분석 174
6. 소결론 179
Ⅹ. 청소년활동의 사회적 가치 제고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1. 심층면접 개요 183
2. 심층면접에 대한 분석 187
3. 청소년 대상 심층면접 분석결과 204
ⅩⅠ. 정책 제언
1. 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에 사회적 가치 비전 제시 214
2. 청소년활동에 따른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유관법률 등의 개정 219
3. (가칭) ‘지역청소년(상생과협력)위원회’ 운영 228
4.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의 조직개편 235
5. 청소년활동의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평가재표 개선 242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청소년활동을 통해 내면화하고 체득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가 무엇인지 규정하고, 실제로 청소년활동의 경험들이 청소년들의 사회적 가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아쉽게도 문헌연구 결과, 청소년활동에 따른 사회적 가치를 직접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개념과 관련 연구의 결과 및 현재 추진 중인 공공정책의 시사점을 고찰하고 새롭게 조작적 정의하였다. 최근 국가적으로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국정설계가 이슈화되는 만큼 2019년 한국행정연구원이 수행한 ‘포용사회 구현을 위한 사회적 가치 연구’를 기준으로 청소년활동의 사회적 가치를 재음미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활동을 통해 내면화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는 ① 인권, ② 안전, ③ 노동인권, ④ 사회통합, ⑤ 상생과 협력, ⑥ 공동체의식, ⑦ 지역경제의 균형, ⑧ 윤리와 평등, ⑨ 환경, ⑩ 의사결정참여 총 10가지로 규정하였다. 또한 청소년활동은 현장에서 사업단위로 뿌리를 내려온 만큼 청소년참여활동은 자유학기제 활동, 청소년자원봉사(DOVOL), 국제교류활동, 청소년정책참여(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위원회),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어울림마당,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국제청소년 성취포상제, 청소년자기도전 포상제 9개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실증분석단계에서 이중차분모형(difference in differences) 을 통해 청소년활동의 경험여부가 청소년들의 사회적 가치변화에 미치는 순효과만을 추정하였다. 특히 이중차분모형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준실험설계에서 시간적 성숙효과와 집단 간 차이효과를 제거하므로 순수하게 청소년활동의 경험에 따른 사회적 가치 변화의 효과만을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청소년조사의 표집은 짝짓기 설계(matched pairs design)에 따라 구성된 전국 1,354명이 표집대상이며 정책의 실험효과를 위한 2회차까지 모두 응답한 청소년들은 606명이었다. 그 결과, 청소년활동을 경험한 청소년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청소년들이 체감하는 인권, 사회통합, 윤리평등, 의사결정참여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청소년관련 전문가 대상 IPA(중요도-실행정도 분석)결과와도 일치한다. 그러나 청소년활동에 따라 가장 큰 긍정적 변화가 예상되는 공동체의식 수준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청소년의 참여활동 중에서 사회적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활동은 자유학기제와 같은 학교관련 활동이었다 .한편, 청소년에게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불확실해 사회적 가치 인식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는 실험경제학(experimental economics)에서 널리 활용되는 독재자 게임(dictator game)을 이용하여 공동체의식의 변화에 대한 추가분석도 실시하였다. 행동실험에 대한 패널고정효과(panel fixed effect)분석결과, 역시 청소년활동의 경험은 공동체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오히려 배려심이 강한 청소년들이 주로 청소년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청소년활동의 경험에 따른 청소년들의 사회적 가치변화가 인권, 사회통합, 윤리평등, 의사결정참여 인식제고에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는 교내 중심의 활동 및 교과적 수준의 인지도 제고의 성과로 제한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 및 관련 전문가의 초점집단면접조사(FGI)를 통해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내적 가치를 체득을 돕는 정책수단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지 못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이 체득하는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제언으로 ① 중앙 및 지자체의 청소년관련 기본계획, ② 유관 법령의 제·개정, ③ 전담조직 신설 및 개편, ④ 평가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특히 앞으로 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에 담을 비전으로서의 사회적 가치가 무엇인지와 청소년기의 사회적 가치제고를 위한 법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제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청소년들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기본토대로 청소년참여위원회와 차별되는 (가칭) ‘지역청소년(상생과협력)위원회’ 운영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실적으로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의 사회적 가치부와 모순되어 있는 중앙부처의 조직문제 개선안과 청소년활동에 따른 사회적 가치가 구현되기 위한 관련 평가체계 강화 등도 같이 제언하였다.

재단안내
- 경상남도청소년지원재단
- 원 장 : 홍순경
- 사업자번호 : 609-82-11727
- 주 소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림로45번길 59 청소년관
운영안내
- Tel : (055) 711-1355
- Fax : (055) 711-1356
- Email : gsndyouth@naver.com
- Home : active.gnyouth.net
- SNS : facebook/gnyouth
센터안내
청소년지원재단 : (055) 711-1305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055) 711-1388
청소년활동진흥센터 : (055) 711-1355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 (055) 711-1336
이동형청소년성문화센터 : (055) 711-1341
일시청소년쉼터 : (055) 285-7361
구홈페이지